::: 까만콩 빈이네 :::
까만콩 빈이네의 살아가는 이야기를 기록합니다
RSS
  • Home

1월 29 2005

담배를 끊으라는데…

어제 회사내부에서 일체의 담배을 피지말라는 공문이 회람으로 날아들었다. 만일 회사내에서 피다가 누군지 모를 암행어사에게 걸리면 경고조치가 아니라 감봉처리를 한다는 강경한 어조였다. 옛날부터 이런 종류의 공문이 많았다. 회사내부가 석유를 원료로 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기때문에 조그마한 불씨에도 금방 커다란 화재로 발전할 수 있기에 실제로 한해에 꼭 한번 정도 조그많게 불이 날 정도로 취약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또 왜 갑자기 회사에서 이런 회람이 도는지… 그럼 그렇지 며칠전에 공장부근의 우리 회사 경쟁사에서 커다란 화재사건이 있었다. 물론 실화든지 누전이든지 기타 어떤 일로 화재가 발생했는지는 잘 모른다. 물론 회사에서 공식적으로 누전정도로 발표하겠지만 아마도 윗선에선 어떤 이유로 화재가 발생했는지 알고 있는 것 같다.

추측컨데 ‘담배’가 원일일 것이다. 작년에는 회사에 다행히 화재사고도 없었는데 담배로 인해 화재가 났다는 이유로 갑자기 금연을 하지않으면 체벌하겠다는 좀 어거지 발상이다. 물론 담배를 피지않음으로써 화재가 발생할 위험을 많이 줄일 수 있겠지만 개인의 자유권마저 박탈한다는게 우습다.

담배는 선택이다. 피울 수도 있고 안피울 수도 있는 자유권이다. 물론 다른 사람한데 간접흡연의 피해를 주면서 피라는 것이 아니다. 담대를 피우고 싶을 때 피울 안전한 장소만 회사에서 마련해 주면 될 것이다. 만약 담배로 불이 난다면 여기 밖에 더 나겠는가! 피울 장소를 마련해주지 않고 강제하면 담배가 갑자기 끊을 수 있는 그런 것이 아닌데 다른 곳에서 더 숨어 피우면 누가 어떻게 숨어 피는지 아무도 모른다. 불이 나면 책임소재도 없다. 단지 담배를 피는 사람들만 대상이 될 뿐이다.

피워라! 피우지 않는다면 그만한 혜택이 주어질 것이다. 담배로 인한 화재의 원인은 제거하고 회사의 목적은 달성되었고 회사에서 손해볼 것 없다. 어차피 담배피는 사람들은 안전한 장소에서 담배를 필 것이고 지원금은 아주 조금만 들이면 될터이고 개인은 좋은 것을 선택해서 즐기거나 끊어서 조그마한 이익을 얻던가…요즘 말하는 WinWin 아닌가!

그럼 담배를 안피는 사람들은 선택권이 없는가? 아니다. 담배피지 않는 사람들은 벌써 회사가 요구하는 담배안피기를 실천한 사람이다. 동기야 어떠하든지 회사는 사원들이 금연하기를 바랬고 금연한 사람이든 피지않는 사람이든 벌써 금연이 아닌 흡연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회사에 비흡연 사원은 10%도 안된다. 이들에게 아주 약간의 흡연사원의 금연 욕구를 위한 동기부여 정도의 감봉에 해당하는 금전적인 지원도 마땅하다.

회사는 어떠한 지원이나 정책도 없이 ‘금연하면 감봉이다’ 원인과 결과로 말하지만 이 금연을 결과로 삼고 원인이나 동기를 다른 곳에서 찾아 (물론 금전적 보상이겠지만) ‘금연하면 돈주께 아님 감봉이다’ 그것은 너희들이 선택하라. 봐라! 벌써 비흡연사원에게는 돈을 주지않느냐!!! 뭐 이런식으로 말이다.

빈이할아버지는 30년을 하루 담배 20~25개피 정도를 피우셨다.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집에 내려갔는데 담배가 없다. 그렇게 좋아하지도 않는 과자봉지만 한가득 있다. 왠일인가 알아보니 그새 이주일씨 사건도 연일 TV에 계속 보도되고 친구분들이 다 암으로 돌아가셨기 때문에 마음속에 큰 부담이 되셨던 모양이다. 벌써 3년정도 되었나보다. 빈이 할아버지는 예전부터 술을 전혀 못하기 때문에 집에 오는 손님들이 대부분 담배를 사 오셨다. 요즘은 선물이 ‘과자 종합선물세트’로 바뀌었다. 덕분에 우리 빈이도 할아버지 과자를 잘 얻어먹구 있다.

오늘 샤론스톤 이야기가 톱기사로 나왔다. 다보스포럼에 내노라하는 패널들이(대통령, 빌게이츠회장 등) 나와 아프리카 빈곤퇴치에 대해 열띤 토론을 50여분간 하면서 지원을 해야한다로 끝났다고 한다. 그리고 나서 계획하고 실무자들이 하다 보면 어영부영해서 또 다음해 회의 안건으로 오르고 이런 악순환이 반복된다고 한다. 그런데 샤론스톤이 질의자로 일어나 ‘Today’를 30번 가량을 외치며 모금을 호소하며 그자리에서 10만불을 쾌척하자 2분 30여초에 100만불이 모아졌다고 한다.

금연을 한다는 것이 마음이다. 어떤 동기로 해서 금연을 하겠다는 절실한 동기가 있어야 한다. 새해가 되었으니 한번, 몸이 안좋은데 담배끊을까, 오늘은 피고 내일부터, 차차 줄여야지, 내가 보기엔 아니다. 당장 지금부터다. 이렇게 강경어조로 말하는 빈이아빠는 담배를 피지않는다. 아니 애초부터 담배를 피지 않았다. 그런데 옆에서 보면 참 금연이 너무나 힘든다고 하는데 이런 강제규정이 통할까 싶어 당사자가 아닌 주변인으로서 답답한 마음에 주저리주저리 글을 써 놓았다.

By vinipapa • 수다떨기 • 0

1월 29 2005

급하게 전화할 때 공짜…

휴대폰 배터리가 없는데 급하게 전화할 일이 생겨버리면…

여기 http://www.leejinhui.info/blog/index.php?pl=108 에 해결책이 있더군요.

물론 공짜로 쓸려면 그만한 댓가가 있어야겠지요. 080-080-9114로 전화를 하셔서 15초 동안 광고를 들으시면 되요. 시내 전화일 경우는 3분, 시외 전화일 경우는 2분, 핸드폰 일 경우는 1분 동안 사용하실 수가 있습니다.

저같이 구형 핸드폰처럼 매일 밥을 줘야할 경우 유용하겠군요.

By vinipapa • 정 보 • 0

1월 27 2005

설날은 E-mail로부터 먼저 온다

요즘 아침 E-mail Notifier로 부터 리스팅되는 스팸성(내가 정보를 요청했으므로 스팸은 아닌데) 메일의 대부분은 설날 선물용품에 대한 정보성 광고 메일이다. 우리네들을 바쁘다는 핑계로 어지러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요즘같은 불경기에 설날은 까마득하고 단지 며칠동안 쉴 수 있다는 아니 회사를 안간다는 의미밖에 없는데 대형업체들은 설날은 여전히 물건을 많이 팔 수 있는 좋은 기회인가보다.

시골에선 설날이 되면 엄마가 제일 먼저 바빠진다. 우선 튀밥, 강정, 가래떡, 송편 등 온갖 설날 손님맞이용 음식을 만들고 손수 밤을 새워 짠 왕골 돗자리를 시장에 들고 나가셨다. 이걸 좋은 값에 팔아야 설날에 쓰일 제수를 사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서 우리 삼형제 ‘설치리’를 사고 조카들과 친척 아이들의 세배돈을 준비할 수 있었다.

예전엔 설날이 오는 것을 제일 먼저 알리는 것은 동네마다 찾아다니는 박상(튀밥)장수의 펑하고 터지는 튀밥 튀기는 소리일 것이다. 펑펑하고 터지는 소리와 함께 새하얗게 피는 김속을 뛰어다니며 그것을 조금 얻어 먹으려는 아이들과 깡밥(강정)을 만들려고 내어 놓은 쌀, 보리, 콩, 강냉이와 작년에 말려 놓은 가래떡 썰어 놓은 것 등 곡물로 튀겨 부풀릴 수 있는 모든 것이 울긋불긋한 보자기 덮힌 바구니에 담겨 줄을 서 있고 거기에 위를 뛰어다니는 아이들만이 신이 났다.

우리집은 겨울 농한기가 되면 왕골 돗자리를 밤을 새워 짜서 5일장에 내다 팔았다. 이놈의 왕골은 머리위와 줄기, 잎이 톱니모양으로 날카로와 보드라운 살결이 스쳐만가도 베어 피를 보기 일수였다. 그래서 시원할 때 긴팔 옷을 입고 이슬이 걷히기 전에 얼른 빼어 왕골머리를 잘라 한단 한단 묶어 개울가에 씻어 말려놓고 새벽에 풀먹이러 보내 놓은 소를 찾으러 산으로 갔다.

씻어 말린 왕골은 좋은 놈은 어른 키보다 훨씬 커서 어른들은 한명이 왕골 껍질을 6면 정도로 벗겨내고 아이들은 팔이 짧아 두명이서 조를 짜서 서툰 솜씨로 만들었지만 손이 모자라 이것도 도움이 되었다. 서둘러 먹은 아침에 한참을 지났어도 아직 해는 아직도 중천인데 저쪽 서쪽 하늘에 소나기 먹구름이라도 끼일라치면 얼른 해뜰 때 잔디 위에 널어 놓은 왕골 껍질을 걷어러 서둘러 서둘러 뒷동산에 숨이 차게 뛰어 올라갔다. 이놈이 비를 맞으면 표면에 울긋불긋 얼룩반점이 생겨 똑같은 노력에도 반값도 못받았다.

서쪽 하늘에 노을이 물들 때쯤 한아이는 또 점심에 풀어 소를 찾아 뉘엿 뉘엿 지는 해를 보며 내려오고 한아이는 여름 좋은 볕에 말린 왕골을 걷어 내어 수줍은 처녀의 긴머리 빗듯이 가지런히 참빗으로 빗어 거풀을 벗겨내고 모아서 한단 한단을 곧추 세워 놓고 이놈을 여럿이 묶어서 어린 아이가 할아버지 상투 뽑듯이 키 큰순으로 위에서 뽑아 올려 등급을 분류해서 서늘한 곳에 잘 말려 보관해 놓았다.

가을걷이가 끝나고 겨울이 되면 소죽을 끓이려고 사랑방에 군불을 넣어 놓고 그 속에다 고구마나 밤을 넣어 밤이 탁탁하고 터지는 소리에 잘 익혀 구워내어 한겨울 저녁 간식거리를 만들어 놓고 뜨뜻한 아랫목에 부모님은 부러지지 않게 찬물에 불려 놓은 왕골을 장단에 맞춰 아버지는 한개 한개 돗자리틀에 메어 놓은 씨줄날줄 사이에 찔러 넣고 엄마는 쿵덕쿵덕 이쪽 저쪽으로 틀을 뒤집어 찍으며 그 겨울 밤을 지샜다.

몇 천개를 찔러 넣어 한장를 만드는데 열대여섯 시간을 찍어야 겨우 세장. 이것을 모아서 5일장에 내다 팔면 그래도 새파란 만원짜리 몇 장을 움켜쥐고 요놈은 제사상, 요놈은 설치리, 요놈은 세배돈으로 쪼개어서 며칠 만에 따라온 아들을 이끌어 시장옆 온통 붉은 색의 소방서 앞에 있는 조그만 중국집에서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짜장면도 한그릇을 사주셨다.

이제 중국산 돗자리가 들어온지도 십여년도 훌쩍 넘었고 그 노동의 댓가로 부모님의 팔과 오래도록 앉아 있어 생긴 관절염 뿐이지만 그래도 아직도 사랑방 백열등 아래서 돗자리 짜는 그 겨울의 소리와 설을 맞이하기 위한 며칠 동안의 그 아련한 풍경들이 그리워진다.

By vinipapa • 엄마아빠 • 0

«< 185 186 187 188 189 >»

카테고리

  • 매킨토시 (261)
    • 굳은모 (73)
    • 무른모 (194)
  • 빈이네 (303)
    • 가족들 (107)
    • 까만콩 (60)
    • 엄마아빠 (131)
  • 잡동사니 (175)
    • 수다떨기 (37)
    • 정 보 (127)
    • 책읽기 (11)

그 밖의 기능

  • 로그인
  • 글 RSS
  • 댓글 RSS
  • WordPress.org

태그

AirPlay AirPrint Apple BootCamp bundle Database Design Dock Dropbox Edit Event Excel free iPad iPhone iTunes Limitted Free Mac Macbook Mac Bundle MacJournal Mac OSX Macupdate MobileMe OCR Pebble safari Sale share Snow Leopard software Tip tweet Twitter Update Windows 구입 나들이 맥 무료 빈이 업데이트 엑셀 엑셀(EXCEL) 팁
  • 2024 윤석열 탄핵 집회 참석
  • 맥 마이그레이션 중…
  • 동백
  • 같은 나무에 다른 색 잎 들
  • 여름 햇살

↑

© ::: 까만콩 빈이네 ::: 2025
Powered by WordPress • Themify WordPress Themes